문화평론가 강인의 ‘벗어나야할 문화예술 관치행정’ 제하의 칼럼을 보고” 강인 문화평론가는 오래전에 문화계 다방면으로 활약한 전직 기자(記者) 출신이다. 문화계의 후배로서 이 분의 칼럼을 주시(注視)하게 되었고, 음악계 내부의 문제도 그 궤를 같이하고 있어 단견(短見)을 몇 자 적어본다.
관치행정(官治行政)은 民(민)을 도태시켜...
일전의 문화저널 21 “서울시 비리 척결을 환영하는 음악계의 한 시각” 칼럼의 연장선상일 수도 있다.
서울시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향의 정명훈 지휘자의 지명도와 예술을 활용하여 대형교회 순회 무료 연주회로 클래식 대중화에 기여(寄與)하기도 하지만, 2천여 단원이 참가하는 시민 오케스트라 축제 기획 등, 위아래의 균형을 맞추는 넓은 안목(眼目)도 엿보인다.
외형상으로는 흠 잡을 데 없는 문화행정이나, 조금 들어가 내용을 면밀하게 살펴보면 현장의 민간(民間) 음악 전문가들은 전혀 배제(排除)된 관치행정이다.
옛날과 달리 관(官)이 민(民)을 기피하는 현상은 경제 불황의 여파(餘波)일 수도 있다. 관도 살아남기 어려운 판이니 겉으로는 문화융성을 표방하나, 현실은 관치행정의 대형 기획에 의해 현장의 민(民)은 하나, 둘 곳곳의 싱크홀, 블랙홀로 함몰(陷沒)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여기서 모 포럼 단체에 대한 강인 문화평론가의 칼럼을 인용(引用)한다.
“우리나라 문화 예술 진흥을 위한 공론의 장을 지향한다”는 기치(旗幟)아래 ‘포럼’이라는 이름으로 결성된 ‘조찬모임’이지만 문화예술 단체장, 교수, 정부 유관 단체장 및 고위 관료 등 173명의 회원(2014년 6월 20일 기준)을 둔 문화예술계 인맥형성으로 보아 관치행정에 대한 영향력 행사와, ‘회의’의 성격을 벗어나 각종사업(공연기획, 광고대행, 콘텐츠 컨설팅, 문화상품 기획 제작)을 도모(圖謀)하는 ‘집단’의 인상이 짙다. 특히 문화예술의 행정과 예산집행의 실력자인 현직 청와대 문화수석비서관과 대통령의 자문기구인 문화융성위원장이 회원으로 가입되어있다는 사실은 이를 실질적으로 증명하는 것 같아 씁쓸한 느낌이 든다.
벗어나야할 문화예술 관치행정(官治行政)
또한 문화예술 융성의 실행 현장으로서의 민간 전문기관의 출현이 절실(切實)하다. 그리고 이를 이루어갈 인재(人才)들의 등용이 요구된다. 최근 대학원에서 문화예술 경영학을 연구한 인재들이 없지 않으나 관치의 오랜 관행으로 발탁되지 않음은 물론 그들이 아무리 좋은 안(案)을 가지고 신문고를 두들겨도 울리지 않는 것이 오늘의 실정이다.
필자가 최근에 본 뉴스 중 하나이다. 1990년대부터 북미 지역에서 유입되어 정체(停滯)된 호수나 저수지에서 서식하는 큰빛이끼벌레가 영산강, 만경강, 낙동강, 금강 등에서 발견되어 녹조현상과 더불어 심각하게 생태계를 교란(攪亂)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고인 물에만 사는 이끼 벌레가 전국의 강으로 번져 토종 동식물들이 고사(枯死)하고 있다. 아무리 좋은 물이라도 고이면 반드시 썩는다는 필자의 칼럼에서 밝혔듯이, 자연스러운 자연을 인위적으로 훼손(毁損)하면 인간에게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다는 진리를 역시 문화계에서도 확인한다.
며칠 전 모 음대 작곡과 교수들의 이전투구(泥田鬪狗)에 이어, 학생들의 피켓 시위가 문화계 뉴스를 점한다.
음대 교수들의 부정 사태가 꼬리를 물고 추태를 보이는 이유 또한 폐쇄적(閉鎖的) 공간 안에서 아이디어 부재와 콘텐츠 부족, 그들만의 리그인 고인 물 고수의 적폐(積弊)인 것은, 이제는 음악계 인사 아니라도 그 누구도 알 정도이다.
강인의 문화읽기 칼럼 중, 지난 4월 10일자 중앙일보 사설(社說)의 내용 일부를 재발췌하여 옮긴다.
“…행정은 통치행위로서 예술을 이용하려 하지만 예술은 체질상 행정을 믿지 않는다. 문화가 창조경제의 한 축으로 작용하려면 문화융성 같은 행정 캠페인보다는 예술혼을 향한 허심탄회한 존중이 필요할지 모른다. 앞서가는 예술가를 따라 잡으려면 행정도 아트의 수준으로 발전해야 한다. 세계로 뻗어가는 문화 한류를 뒷받침할 행정 아트를 기대한다"
예술분야는 예술가에게 맡겨야...
현장의 문화예술계의 민간 젊은 고급 인력을 배제(排除)한 채, 기득권 고수의 오랜 관치행정, 관료주의의 한계가, 바로 큰 빛의 기치만 드높은 현실 문화계의 총체적(總體的)인 난맥상이 아닌가 싶다.
관이 막대한 행정력을 동원해 민을 도리어 도태(淘汰)시키려 하고, 관치행정이 예술의 발전을 막아서면, 결국 관과 민은 문화계의 세월호로 같이 수장(水葬)되며, 외래(外來) 동식물들이 기생(寄生)하기 좋은 토양으로 화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 폐해(弊害)는 고스란히 국민들의 몫이 될 것이다.
문화저널21 칼럼 2014. 9. 6
'카메라타 서울 SNS > 음악지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식(斷食)과 폭식(暴食)문화 (0) | 2014.09.10 |
---|---|
KBS교향악단이 로마시대의 검투장인가? (0) | 2014.09.06 |
애국가 논란... 그 진실 알고 싶다 (0) | 2014.09.06 |
삼복더위를 통쾌하게 날려버린 영 피아니스트들 (0) | 2014.08.08 |
서울시의 비리 척결을 환영하는 음악계의 한 시각 (0) | 2014.08.06 |